반응형

Certificate 12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 방법 및 합격 후기 | 요점정리 PDF 공유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필기에 합격했다. 개발자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어서 전공 지식을 공부하기 위해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다. 비전공자라서 맨땅에 헤딩 수준으로 시작했지만 SQLD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SQL을 다루어봐서 다른 부분을 더 집중적으로 보았다. 기사 필기 준비물과 유의사항 수험표, 신분증, 컴퓨터용 사인펜, 검정 볼펜, 연필, 화이트(액체 X) 수험표는 없어도 되나, 신분증은 없으면 퇴실 조치이므로 반드시 있어야 한다. 시험과목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1. 책 추천 책은 수제비 정보처리기사를 추천한다. 오탈자는 좀 있는 편이지만 두음법칙, 학습 Point! 등 암기를 쉽게 할 수 있는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요구사항 프로세스 - 추출 - 분석 - 명세 - 검증 소프트 웨어 생명주기 모델의 프로세스 단계별 황동 내용 - 요구사항 분석 단계 : 기능 및 비기능 요구사항 파악 - 설계 단계 : 시스템 구조 설계, 프로그램 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구현 단계 :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개발, 자료 구조 개발, 오류 처리 - 유지보수 단계 : 예방, 완전, 교정, 적응적 유지 보수 수행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유형 - 구조적 방법론 : 전체 시스템을 기능에 따라 나누어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는 분할과 정복 접근 방식의 방법론이다. - 객체지향 방법론 : 데이터와 관련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는 방법론으로 데이터는 실체이고, 동작은 절차, 방법, 기능을 의미한다. - 컴포넌트 기반 방법론 :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도구 빌드 도구 - 작성한 코드의 빌드 및 배포를 수행 - 각각의 구성요소와 모듈에 대한 의존성 관리를 지원하는 것 구현 도구 - 코드의 작성과 디버깅, 수정 등과 같은 작업과 구현 소프트웨어가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되는지 선택 테스트 도구 - 코드의 기능 검증과 전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 형상 관리 도구 -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와 리소스 등 산출물에 대한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 개발환경 구성요소 - 서버 하드웨어 개발환경에는 프로젝트 구성에 다라 웹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등으로 구분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항목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서 형상관리 툴을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 하드웨어 개발환경은 클라이언트 ..

데이터베이스 구축 언어

SQL 문법의 분류 - 데이터 정의어(DDL) : CREATE, ALTER, DROP - 데이터 조작어(DML) : SELECT, INSERT, DELETE, UPDATE - 데이터 제어어(DCL) : GRANT, REVOKE DDL 대상 - 도메인(Domain) - 스키마(Schema) - 테이블(Table) - 뷰(View) - 인덱스(Index) 트리거 :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정해 놓은 조건이 충족되거나, 특정 테이블에 삽입, 수정, 삭제 등의 데이터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DBMS에서 자동적으로 샐행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함수 - 행과 행 간의 관계를 쉽게 정의하기 위해 만든 함수이다. -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한 온라인 분석 처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SQL에 추가된 기능으로 OLA..

소프트웨어 개발

자료 구조 - 선형 : 연결 리스트, 스택, 큐, 테크 - 비선형 : 트리, 그래프 트리 - 포화 이진 트리 : 모든 레벨에서 노드가 꽉 채워진 트리 - 완전 이진 트리 : 마지막 레벨을 제외하고 노드가 채워진 트리 - 편향 이진 트리 : 노드의 왼쪽이나 오른쪽 한 곳만 노드가 존재하는 트리 - 이진 탐색 : 중복된 노드가 없으며, 특정 노드의 왼쪽 서브 트리에 해당 노드 값보다 작은 값, 오른쪽 서브트리에는 해당 노드 값보다 큰 값으로 구성되는 이진 트리 파티션의 장점 - 성능 형상 - 가용성 향상 - 백업 가능 - 경합 감소 클러스터 설계 시 고려사항 - 검색 효율은 높여 주나 입력, 수정, 삭제 시는 부하가 증가함을 고려한다. - UNION, DISTINCT, ORDER BY, GROUP BY가 빈..

소프트웨어 설계

운영체제 현행 시스템 분석 시 고려사항 지원 측면 - 기술 지원 - 주변 기기 - 구축 비용 품질 측면 - 신뢰도 - 성능 현행 시스템 분석을 위한 플랫폼 성능 특성 분석 기법 - 사용자 인터뷰 : 현행 플랫폼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속도의 적정성 확인 - 성능 테스트 : 현행 플랫폼을 대상으로 성능, 부하 테스트를 수행 - 산출물 점검 : 현재 플랫폼과 유사한 타사 제품의 성능 자료 등을 분석 OSI 7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의 동기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 전송 에러 제어 - 물리 계층 : 매체 간의 인터페이스,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기능 정의 - 응용 계층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응용서비스 연결, 데이터 생성 - 표현 계층 : 코드 변환 구문 검색, 암호화, 형식 변환, 압축 ..

SQL 최적화 기본 원리

CBO(Cost Based Optimizer) - 테이블 및 인덱스 등의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SQL문을 실행하는데 소요될 처리 시간 및 CPU, I/O 자원량 등을 계산하여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실행계획을 선택하는 옵티마이저를 비용기반 옵티마이저라고 한다. - 비용기반 옵티마이저는 테이블, 인덱스, 칼럼 등 객체의 통계정보를 사용하여 실행계획을 수립하므로 통계정보가 변경되면 SQL의 실행계획이 달라질 수 있다. 실행계획 - SQL 처리를 위한 실행 절차와 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 조인 방법, 조인 순서, 액세스 기법 등이 표현된다. - 실행방법이 달라진다고 해서 결과가 달라지지는 않는다. - CBO의 실행계획에는 단계별 예상 비용 및 건수 등이 표시된다. - 인덱스 범위 스캔은 결과 건수만큼..

Certificate/SQLD 2021.01.04

SQL 활용

순수 관계 연산자와 SQL 문장 비교 - SELECT 연산은 WHERE 절로 구현 - PROJECT 연산은 SELECT 절로 구현 - (NATURAL) JOIN 연산은 다양한 JOIN 기능으로 구현 - DIVIDE 연산은 현재 사용되지 않음 ANSI/ISO SQL에서 표시하는 FROM 절의 JOIN 형태 - INNER JOIN - NATURAL JOIN - USING 조건절 - ON 조건절 - CROSS JOIN - OUTER JOIN(LEFT, RIGHT, FULL) INNER 조인 : OUTER JOIN과 대비하여 내부 JOIN이라고 하며 JOIN 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있는 행만 반환된다. CROSS 조인 - 테이블 간 JOIN 조건이 없는 경우 생길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의 조합을 말한다. - 결과는..

Certificate/SQLD 2021.01.04

SQL 기본

SQL 문장들의 종류 명령어의 종류 명령어 설명 데이터 조작어 (DML)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는 것으로 RETRIEVE라고도 한다. INSERT UPDATE DELETE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들어 있는 데이터에 변형을 가하는 종류의 명령어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집어넣거나,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것들의 명령어들을 DML이라고 부른다. 데이터 정의어(DDL) CREATE ALTER DROP RENAME 테이브롹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그러한 구조를 생성하거나 변형하거나 삭제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DDL이라고 한다. 데이터 제시어(DCL..

Certificate/SQLD 2021.01.04

데이터 모델과 성능

성능 데이터 모델링이란? -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데이터의 증가가 빠를수록 성능저하에 따른 성능개선비용은 증가한다. - 데이터모델은 성능을 튜닝하면서 변경이 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분석/설계 단계에서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모델링을 수행할 경우 성능 저하에 따른 Rework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성능 데이터 모델링 수행 절차 1. 데이터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한다. 2.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한다. 3.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 4.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한다. 5. 이력모델의 조정, PK/F..

Certificate/SQLD 2021.01.04
반응형
LIST